혈압약 꼭 먹어야 하나요? 고혈압 혈압약 종류와 부작용
고혈압은 성인 중 30%가 가지고 있어 국민병이라 불릴 만큼 흔합니다. 그러나 고혈압 인구 중에 혈압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비율은 절반(47.4%)에 불과하며, 고혈압은 10년 후에 각종 심뇌혈관계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혈압약이란?
혈압약은 혈압을 낮추기 위해 복용하는 약으로 혈압강하제라고도 불립니다. 혈압약은 보통 '한 번 복용하기 시작하면 죽을 때까지 먹어야 한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혈압약을 장기간 복용할 가능성이 높지만 증상이 개선되면 복용량을 줄이거나 끊을 수 있습니다.
현재 일차적으로 선택되고 있는 몇 가지 혈압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혈압 약제는 의료진과 상의하여 환자의 기저 질환을 고려하여 가장 적절한 약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뇨제 (Diuretics)
체내의 수분과 염류 배설을 촉진하여 우리 몸 안의 혈장량을 감소시켜 강압 효과도 나타냅니다.
라식스(Lasix), 다이크로짇(Dichlozid), 아밀로라이드(Amiloride), 알닥톤(Aldacton), 토렘(Torem), 자록소리(Zaroxolyn), 트리파몰(Tripamol), 후르덱스(Fludex), 나트릭스(Natrix) 등이 있습니다.
부작용 및 주의점
전해질 칼륨의 감소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으로 무기력감, 다리경련, 피로감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칼륨이 포함된 음식 섭취가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어떤 종류의 이뇨제는 칼륨이 축적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무조건 칼륨이 많은 음식을 섭취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장기간 이뇨제 복용을 할 시에 통풍 발작, 당뇨가 있는 사람은 혈당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갑자기 일어나지 말고, 운전이나 기계 조작 시 졸음, 어지럼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야뇨 방지를 위해 약은 오전에 복용하며 하루 2회 이상 복용 시에는 저녁 6시 이전에 복용 하도록 합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하고 급속한 체중변화 시 담당의에게 상담이 필요합니다.
베타 차단제 (Beta Blocker)
교감신경의 작용을 차단하여 감압효과를 일으키며, 심박동수와 심근 수축력을 감소시켜 심장의 부담을 줄여줍니다. 그래서 고혈압 환자뿐 만 아니라 관상 동맥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효과적이며 심방세동, 심방빈맥 등의 부정맥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특히 심부전 이나 과거 심근 경색이 있었던 환자에게 가급적 반드시 사용할 것을 권장됩니다.
딜라트렌드(Dilatrend), 콩코르(Concor), 테놀민(Tenolmin), 켈론(Kelon), 알말(Almarl), 프라놀(Pranol), 렌티블록(Rentiblock), 미케란(Mikelan), 쎄렉톨(Selectol) 등이 있습니다.
부작용 및 주의점
부작용으로 어지러움증, 졸음, 시야몽롱, 수족냉증, 피곤, 우울, 서맥, 중성지방 상승, 저혈당, 천식증상 악화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남성에서는 발기부전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매일 일정 시간에 복용하도록 하며 갑작스러운 복용 중단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혈압, 맥박을 체크하고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천식, 만성 기관지염, 폐기종 등의 폐질환이 있거나 심장질환, 간질환, 신질환, 당뇨, 갑상선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의사에게 미리 얘기해야 합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Angiotensin-converting enzyme(ACE) inhibitor) 및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ARB)
혈관수축 작용을 가진 물질인 안지오텐신 II의 생성이나 작용과정을 막아 혈관이 이완되도록 합니다. 특히 관상동맥질환이나 신부전을 가진 환자들의 고혈압 치료에 유용하며, 특히 당뇨환자에 신질환 예방을 위해 사용하도록 권고됩니다. 또한, 혈압 강하 이외에도 약물 자체의 기전이 심장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기저 심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올메텍(Olmetec), 디오반(Diovan), 코자(Cozzar), 아프로벨(Aprovel), 타나트릴(Tanatril), 카프릴(Capril), 유니바스크(Univasc),레니프릴(Lenipril), 아서틸(Acertil), 에나프린(Enaprin), 인히베이스(Inhibace), 트리테이스(Tritace), 제스트릴(Zestril), 테베텐(Teveten), 프리토(Pritor) 등이 속합니다.
부작용 및 주의점
부작용으로 피부 발적, 마른기침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혈관부종이 드물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고혈압 치료 약물 중 가장 최근에 개발되었으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의 부작용인 마른기침이 거의 없으며 신장 보호 효과가 있어 만성신장질환 환자에 효과가 좋습니다. 부작용으로 어지럼증이 유발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칼슘채널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혈관벽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하며, 일부 약물은 심장에도 작용해 심장의 수축력을 억제하고 심박수를 느리게 합니다. 비교적 발현 시간이 빠르고 안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현재 가장 많이 이용되는 약물 중 하나입니다. 체내 콜레스테롤과 전해질 등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노인 고혈압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고혈압 약제의 병용 요법이 필요할 경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와 칼슘채널 차단제의 병용요법이 널리 쓰입니다.
아모디핀(Amodipin), 노바스크(Norvasc), 아달라트(Adalat), 헤르벤(Herben), 이솝틴(Isoptin), 니카디핀(Nicardipin), 바이프레스(Bipres), 애니디핀(Anydipin), 박사르(Vaxar), 올데카(Oldecar), 자니딥(Zanidip) 등의 약들이 있습니다.
부작용 및 주의점
두통, 어지럼증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심계항진, 안면 홍조, 잇몸비대 등의 부작용과 간혹 발목등에 부종이 오기도 하므로 발생 시 전문의와 상담이 필요하다. 자몽 혹은 자몽 주스를 칼슘 채널차단제와 섭취하면 약물의 혈중 농도를 높여 약의 부작용이 나타날 위험이 있어 같이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알파차단제(Alpha Blocker)
알파 차단제는 말초 혈관에 작용하는 교감 신경 자극을 감소시켜서 혈관 수축물질의 작용을 낮춥니다. 따라서 말초동맥이 확장되어 혈관 내 저항이 낮아져 혈압이 떨어지게 됩니다..
혈압을 낮추는 작용 외에도 전립선과 방광의 긴장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노인 등 전립선 비대가 있는 고혈압 환자에 특히 좋다. 미니프레스(Minipres), 카르딜(Cardil), 하이트린(Hytrin), 카두라(Cadura)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부작용 및 주의점
카두라 엑스엘 서방정의 경우 씹거나 분할하거나 분쇄하여 복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분변 중정제와 같이 생긴 것이 보인다면 이는 약이 방출되고 남은 껍질이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대부분의 혈압약들과 마찬가지로 어지럼증이 올 수 있어 운전이나 위험한 기계 조작 시 주의하며 앉거나 누웠다가 일어날 경우에 천천히 일어나세요. 두통, 오심, 쇠약감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FAQ
Q1. 혈압약의 흔한 부작용은 뭐가 있나요?
A. 혈압약은 기전도 다양하고 같은 종류라도 화학구조가 조금씩 다른 약들입니다. 초기 혈압 강하시 약간의 어지럼증이 나타날 수 있지만 대부분 회복되고, 몸이 붓거나 (칼슘 차단제), 마른기침 (ACE 차단제) 등 특정 성분의 약에 해당하는 부작용이 있지만 모든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부작용이 의심된다면 즉시 담당 의사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Q2. 혈압약 복용한 다음부터 두통이 심하고, 어지러운데 잘못된 것 아닌가요?
A. 혈압약 복용 초기에 두통, 어지럼, 설사, 소화불량, 복통 등의 부작용이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복용 후 2주 정도면 대부분 사라집니다. 증상이 심하거나 오랜 기간 지속 시에는 병원 방문해 담당 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고혈압에 대해 작성한 글과 글 작성 시 참고한 사이트 공유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이유를 알 수 없는 두통, 어지러움 고혈압의 증상?
고혈압은 주로 나이가 들었을 때 나타나는 노인성 질환 중 하나로 대표적으로 알려진 바 있으나, 최근 5년 동안 국내에 20~30대의 젊은 고혈압 환자들이 30%가량 증가했다고 합니다. 고혈압은 오랜
kangdanhealth.tistory.com
혈압약 복용방법, 복용시간 및 주의사항? 혈압약에 대한 궁금증 해결하기!
최근 젊은 20~30대 층에서도 고혈압 환자가 급격하게 늘어났습니다.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라 불릴 만큼 크게 증상이 없지만 합병증 예방을 위한 혈압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혈압관리를 위
kangdanhealth.tistory.com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health.kdca.go.kr
서울아산병원
앞선 의술 더 큰 사랑을 실천하는 서울아산병원 입니다
www.amc.seoul.kr
'질병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 합병증 종류 당뇨발, 신부전 예방관리 (0) | 2024.03.13 |
---|---|
체중 감소, 다뇨, 목마름은 당뇨병 증상! (0) | 2024.03.10 |
어지럼증, 빈혈이 아니라 저혈압이 원인. 저혈압 증상 및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4.03.06 |
혈압약 복용방법, 복용시간 및 주의사항? 혈압약에 대한 궁금증 해결하기! (0) | 2024.03.03 |
이유를 알 수 없는 두통, 어지러움 고혈압의 증상? (0) | 2024.02.24 |